[그래픽뉴스] 챗GPT '열풍'<br /><br />인공지능 챗봇, 챗GPT의 인기가 뜨겁습니다.<br /><br />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챗GPT 의 등장이 과거 인터넷만큼 중대한 발명이며 앞으로 챗GPT와 같은 AI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챗GPT가 전 세계적 열풍을 일으키면서 개강을 앞둔 대학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챗GPT가 과제나 시험 등의 부정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실제 최근 국내의 한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 챗GPT를 활용해 과제를 내고 A+를 받았다는 경험담이 공유되기도 했죠.<br /><br />먼저 챗GPT 열풍이 시작된 미국에서는 교내 네트워크에서 챗GPT 접속을 금지하는 등의 방침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챗GPT는 수험생이나 취업준비생의 자기소개서 작성에도 적극 활용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현행법상 타인이 작성한 자기소개서를 기업이나 학교에 제출하면 '대필'로 간주해 처벌받을 수 있죠.<br /><br />그렇다면 챗GPT를 활용해 자기소개서를 썼다면 처벌 대상이 될까요?<br /><br />법조계에서는 현행법상 실제 형사처벌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시각입니다.<br /><br />제3자가 자기소개서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작성한 '대필'일 경우 처벌 대상이지만 챗GPT가 쓴 내용을 본인이 수정하거나 추가할 경우 '첨삭'으로 간주돼 처벌받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챗GPT는 직장인들 사이에서도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직장인들이 직접 업무에 적용해보고 놀라움과 당혹감을 느꼈다는 등 사용 경험을 공유하는 사례도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공직사회에서도 교육부가 직원들을 대상으로 챗GPT 내부 체험 행사를 여는 등 교육 현장의 변화에 발맞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에 대해 갈 길이 아직 멀었다는 지적과 우려도 존재합니다.<br /><br />먼저 높은 오답률입니다.<br /><br />얼마 전 구글의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챗봇이 제입스웹 우주망원경에 대한 질문에 틀린 답을 내놓자 구글의 모회사 주가가 이틀간 11.7% 떨어지면서 200조원 넘는 시가총액이 사라지기도 했죠.<br /><br />또한 표절로 인한 저작권 문제와 가짜 뉴스와 정보 생성 등의 문제도 생성형 AI가 앞으로 넘어야 할 산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#챗GPT #챗봇 #그래픽뉴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